마이오렌지 주식회사는 기부를 더 쉽고, 더 똑똑하게 만들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2년 6월에 설립된 이후, 소풍벤처스의 시드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습니다. 저희는 개인 기부 관리를 위한 핀테크 서비스인 ‘마이오렌지’(myorange.io)와 소셜 임팩트 뉴스레터 ‘오렌지레터’(orangeletter.co)를 운영 중입니다. 또한 기업을 위한 비영리단체 정보 서비스인 ‘오렌지랩’(lab.myorange.io)를 최근에 출시했습니다. 본사는 서울 여의도의 서울핀테크랩에 위치해 있습니다.
2024년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및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촉진하는 B2B SaaS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입니다. 현재 한국 기업 기부 규모는 연간 약 5조 원이며, 글로벌 CSR 소프트웨어 시장은 2030년까지 17억 2천만 달러(약 2조 2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이오렌지는 기업들이 효과적인 기부금 지출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고, 이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커뮤니티를 구축할 것입니다.
주요 업무
- 프로덕트의 성공 지표를 정의하고, 중장기 전략을 수립 및 관리합니다.
- 프로덕트 정책과 상세 요구사항을 정의하며, 기획자, 엔지니어, 디자이너와 협업하여 이를 구현합니다.
- 사용자 인터뷰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가설을 수립 및 검증합니다.
- 가용 리소스와 목표 일정을 고려하여 업무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자격 요건
- 기본 사항
- 웹/모바일 서비스 관련 경력 5년 이상, 이 중 Product Manager 또는 Product Owner 경력 3년 이상
- 프로덕트 전략 및 로드맵 설계 경험
-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능력
- 신규 서비스 런칭 경험
- 일정관리 도구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경험
- 우대 사항
- 서비스의 성장과 확장 경험
- 소셜 섹터, CSR 또는 ESG 관련 경험
- B2B 프로덕트 경험
- IR Deck 작성 경험
급여 및 보상 패키지
- 급여: 후보자의 역량에 따라 급여를 협의합니다. 마이오렌지는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으로 업계 표준에 비해 낮은 급여를 제공하지만, 성공에 대한 믿음과 헌신을 보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주식 옵션: 금전적 보상 외에도, 마이오렌지는 팀원들이 회사의 성공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주식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회사와 함께 성장하며 더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지원 절차
<aside>
➡️ 커피챗(선택) → 서류 제출(이메일 및 온라인 양식) → 직무 면접(화상) → 문화적합성 면접(대면) → 레퍼런스 체크 → 처우 협의 → 최종합격(수습 3개월)
</aside>
- 커피챗:
- 채용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물어보실 수 있어요(~1/31). [신청하기]
- 서류 제출:
- 이메일([email protected])로 제출해주세요.
- 이메일 제목은 “[PM 지원] (지원자명)”으로 적어주세요.
- 다음 서류를 압축하지 말고 각각의 pdf 파일로 첨부해주세요. (파일명: “PM-(지원자명)-(서류명).pdf”)
-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
- 이름,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경력사항(회사명, 직무, 직위, 부서명, 재직기간, 담당 업무 등)을 필수로 기재해주세요.
- 담당 서비스 또는 프로젝트별로 문제 정의, 가설 수립, 액션 및 검증, 결과를 기재해주시고, 각 항목별 러닝포인트와 개선된 지표 기반으로 설명해주세요.
- 신체 정보, 가족 사항 및 주민등록번호 등의 민감한 개인정보는 제외 부탁드립니다.
- 자기소개서(최대 2페이지)
- 지원 동기를 중심으로 서술해주세요.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온라인 양식을 제출해주세요. [제출하기]
- 면접:
- 직무 면접은 화상(Google Meet)으로 진행하며, 이 때 포트폴리오 리뷰를 요청드리고 있습니다.
- 문화적합성 면접은 대면으로 진행하며, 캐주얼한 분위기에서 다른 팀원들과 함께 진행합니다.
업무 환경
- 팀은 5명(대표, 백엔드 엔지니어,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서비스 기획자, 콘텐츠 에디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